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울 아파트값 2년새 더 올랐다

집값을 잡겠다며 고강도 부동산 정책들이 지속되었던 나날. 오히려 이러한 규제 정책이 전셋값만 올렸다. 특히 서울의 전셋값은 1년 새 2500만원이 급등했다. 강남구의 경우 전용 84제곱미터 전셋값은 8천만원 넘게 올랐다. 서울아파트 평균 전세값은 2016년 4억원대로 진입한 후 2018년에는 4억 5천만원을 넘어섰다. 서울에서 2년전 전세 아파트 계약을 한 세입자가 계약을 연장할 경우 평균 3500만원이 넘는 돈을 더 내야 한다. 전용 84제곱미터 아파트를 기준으로 1년 새 가장 많은 전셋값이 오른 지역은 강남구로 8171만원이 올랐으며, 서초구가 4891만원, 송파구가 3596만원, 광진구 3206만원, 성북구 2859만원, 양천구 2830만원 등으로 7개구가 3천만원 이상 상승했다. 전셋갑이 가장 적..

알아두면 돈 되는 부동산 2020. 6. 2. 16:24
전월세집 벽에 못 박아도 될까요?

액자 뿐만 아니라 선반이라던지,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라던지.. 생활을 하다보면 벽에 못을 박아야 할 때가 있다. 하지만 이 집이 내 집이 아닌 월세나 전세 집이라면? 못질을 해야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을 하는 상황이 온다. 그렇다고 해서 못 박는 사소한거 하나까지 주인에게 이야기 하여 허락을 받아야 하는 걸까? 사소하지만 고민되는 전월세집 못 박기. 어떻게 하면 좋을지 알아보자. 우선은 집 주인에게 먼저 허락을 구하자 일단 지금 살고 있는 실질적인 주인은 바로 집주인(임대인). 세입자는 원상복구 의무를 지기 때문에 가급적으로 집에 흠집을 내는 행위는 자제하는 것이 좋다. 겨우 못 박기 하나 쯤인데..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집에 손상을 주는 행위에 속하므로 사전에 허락을 구하는 것이 좋다. 괜..

알아두면 돈 되는 부동산 2020. 4. 10. 20:46
원룸 중도 계약해지 하는 방법

원룸 중도 계약해지 하는 방법 통상적으로 임대차계약을 진행할 경우 계약기간은 2년이 기준이다. 임대차계약은 세입자와 집주인과의 약속이기 때문에 서로가 사전에 협의한 내용을 이행하는 것이 의무와 다름없다. 하지만 부득이한 사정 등으로 인해 계약기간 중간에 원룸 중도 계약해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가급적 임대차계약을 원만하게 완료하고 싶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입장에 따라 피해가 생길 수도, 생기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세입자가 개인 사유에 의해 중도 계약 해지를 해야할 경우는 계약파기의 원인이 세입자이기 때문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집주인이 정말 좋은(?) 사람이라 세입자의 사정을 모두 이해해주고 편의를 봐주는 경우도 간혹 있지만 대체로 새로운 세입자를 구한 뒤 나가라고 하는 경..

알아두면 돈 되는 부동산 2019. 12. 21. 22:00
깡통전세, 역전세난에 보증금 지키는 전세금보증보험 알아보기

작년과 올해 가장 여러 번 들은 말 중 하나가 바로 깡통전세, 역전세난이다. 지방 및 수도권, 서울 변두리를 중심으로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그렇기 때문에 '전세보증보험'이라는 것을 가입하면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더라도 보험을 통해 전세금을 보장받을 수 있었다. 5년 새 전세보증보험 가입자는 30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뉴스를 보면 특히 자금여력이 부족한 신혼부부들이 많은 피해를 봤는데, 아파트보다 빌라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보니 빌라 전세를 들어갔고, 이후 열심히 돈을 모아 아파트로 이사를 가려했더니 집주인이 전세금을 돌려줄 수 없다며 잠적해 버리거나 세입자에게 집을 떠넘기면서 이도저도 못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현재까지 전세보증보험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금반환..

알아두면 돈 되는 부동산 2019. 11. 29. 23:26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